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20062009201320172023
6회
2026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svg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워드마크.svg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7 World Baseball Classic™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대회기간 2017년 3월 7일 ~ 3월 22일
개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미국, 멕시코
개최도시 서울, 도쿄도, 마이애미, 자포판,
샌디에이고, 로스앤젤레스
슬로건 WBC Pride
공인구 파일:롤링스 로고.svg
ROWBC17[1]
온필드 스폰서 파일:마제스틱 로고.svg
마제스틱
참가팀 16개국
총 상금 380만달러
우승: 100만달러[2]
총 관중 1,086,720명
대회 결과
우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준우승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파일: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3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4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수상
MVP 파일:미국 국기.svg 마커스 스트로먼
이전·이후 대회
2013년
3회 대회
2017년 2023년
5회 대회
JTBC CLIP[3]
1. 개요
2. 홍보 영상
3. 개최장소
3.1. 예선
3.2. 본선
4. 변경된 사항
5.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
6. 대회 진행
7. 최종 순위
8. 기록실
8.1. 타자
8.2. 투수
9. ALL WBC TEAM
10. 중계
10.1. 해외 중계
10.2. 국내 중계
10.2.1. 논란
10.2.1.1. 중계 관련
10.2.1.2. 해설 관련
11. 대회 스폰서
11.1. 글로벌 파트너
11.2. WBC 파트너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7년 3월 7일부터 열리는 제4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지난 대회와 달라진 점으로 1라운드 풀리그, 2라운드 더블 엘리미네이션에서 1, 2라운드 모두 풀리그로 진행되고, 3팀 이상이 동률일 경우 다음 라운드 진출 팀을 가리기 위한 플레이오프를 도입한 점이다.

2. 홍보 영상[편집]


공식 홍보 영상

국가를 대표하라

WBC Pride

WBC, 모든 순간을 다시 경험하라


3. 개최장소[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40><rowbgcolor=#002d72> 1라운드 A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 1라운드 B조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 1라운드 C조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 1라운드 D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자포판 ||
||<height=40><width=25%> 고척 스카이돔
(16,813명) ||<width=25%> 도쿄 돔
(45,600명) ||<width=25%> 말린스 파크
(36,742명) ||<width=25%> 에스타디오 차로 데 할리스코
(16,000명) ||
||<rowbgcolor=#002d72> 2라운드 E조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 2라운드 F조
파일:미국 국기.svg 샌디에이고 ||<-2> 4강, 결승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엔젤레스 ||
|| 도쿄 돔
(45,600명) || 펫코 파크
(40,162명) ||<-2> 다저 스타디움
(56,000명) ||




우리나라에선 유일한 돔구장인 고척 스카이돔으로 본선 1라운드 유치 신청을 하였다. 대만에서는 공식적인 발표만 없을 뿐 한국이 고척스카이돔에서의 대회유치가 사실상 확정되었다고 보도했으며, 이후 5월 17일 대만야구협회에서 WBC 본선경기 유치 신청을 공식 철회했다.[4] 2016년 8월 2일 WBCI[5]에서 고척 스카이돔에서 1라운드 B조 경기를 치른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국, 사상 첫 WBC 대회 유치.. 고척돔 개최 확정 발표. 이후 서울 라운드를 A조로, 도쿄 라운드를 B조로 재편성하였다.

그러나 중계권비를 싸그리 조직위가 가져가고 밑 빠진 독에 돈 붓기 고척 스카이돔의 최대 수용인원이 2만이 되지 않아 수익이 크게 나질 않기 때문에, 대회 스폰서가 나타나지 않으면 적자를 볼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이 가장 큰 논란거리다. ## 극단적으로 한국 야구계가 WBC 유치하면 그건 자발적 호갱이 되는거다!"라는 비난을 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 이럴 바엔 차라리 지방인거 감수하고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로 하지 그랬냐 추워서 fail

결국 KBO는 큰 손해를 보고 다음 2023년 WBC 서울 개최는 힘들다고 포기하는 분위기다. 대회 운영비가 대략 50억원 규모였는데 절반에 가까운 200만 달러(약 23억원)를 메이저리그가 주도하는 WBC 조직위원회에 유치비로 주고 A조 4개국의 숙박비 등을 부담하고, 지난 대회보다 한참 길어진 대표팀의 합숙 비용도 늘어났다. 하지만 수익도 너무나도 없어서 10억 이상 적자를 예상했는데 비싼 티켓 값에 부담을 느낀 팬들이 직관을 꺼린 데다 한국 대표팀의 부진으로 관중 흥행은 기대에 한참 못 미쳤고(평균 7800명대), 스폰서 비용이나 여러 모로 적자 폭이 더더욱 늘어나서 다음 대회 예선 국내 개최는 앞으로 힘들 전망이다. 관련기사


3.1. 예선[편집]




3.2. 본선[편집]


경기장지도
파일:2017 고척 스카이돔 항공샷.jp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서울, 고척 스카이돔

경기장지도
파일:TokyoDome4.jpg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도쿄, 도쿄 돔

경기장지도
파일:MP7.jpg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말린스 파크


경기장지도
파일:펫코파크1.jpg

파일:미국 국기.svg
샌디에이고, 펫코 파크




4. 변경된 사항[편집]




5.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편집]



5.1. 예선 라운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예선 라운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년 대회 16강 조별 예선에서 조 3위 이상 입상팀은 예선 없이 곧바로 본선 진출이 확정되며, 전년 대회 16강 조별예선 4위 팀과 신규 참가팀들은 지역 예선을 거쳐 본선 무대를 밟게 된다. 전년에 참여했던 태국이 빠진 대신 그 자리를 파키스탄이 채웠다.


5.2. 본선 진출 국가[편집]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orld Baseball Classic
참가국
||
연맹연속 출전최근 출전최고성적비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4a4woaUar1sqk8veo9_r3_250.png (1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3)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아시아 야구 연맹4회2013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4a4woaUar1sqk8veo9_r3_250.png (06, 0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유럽 야구 연맹4회20134위 (13)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0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4위 (0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유럽 야구 연맹4회20132라운드 (13)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아시아 야구 연맹4회20132라운드 (13)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아시아 야구 연맹4회2013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09)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3위 (0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2라운드 (06, 09)[Q]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팬아메리칸 야구 연맹4회20131라운드 (06, 09, 1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아시아 야구 연맹4회20131라운드 (06, 09, 1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오세아니아 야구 연맹4회20131라운드 (06, 09, 13)[Q]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팬아메리칸 야구 연맹1회첫 참가첫 참가[Q]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유럽 야구 연맹1회첫 참가첫 참가[Q]


5.3. 본선 진출 국가 엔트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대회 준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공식 시범경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시범경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본선[편집]



6.2.1. 본선 1라운드[편집]


1라운드
1위
(2라운드 진출)
2위
(2라운드 진출)
3위
(탈락)
4위
(탈락)
A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3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승 1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승 2패)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3패)
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승)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2승 1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승 2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패)
C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3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승 1패)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1승 2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패)
D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
(3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2승 2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승 2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승 2패)


6.2.2. 본선 2라운드[편집]


2라운드
1위
(준결승 진출)
2위
(준결승 진출)
3위
(탈락)
4위
(탈락)
E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승 1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1승 2패)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3패)
F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
(3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승 1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1승 2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3패)


6.2.3. 결선 토너먼트[편집]


준결승결승
1경기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
43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결승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
08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경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3. 우승[편집]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파일:external/images.performgroup.com/marcus-stroman-wbc-032317-getty-ftrjpg_1sn4kanrvhnng127b021ijw3op.jpg
첫 번째 우승

제 4회 대회의 우승 트로피를 미국이 가져감으로써 종주국의 면모와 체면을 세웠다. 그간 미국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 주최측인 메이저 리그의 본국답지 않은 소극적인 참여로 한때 많은 눈총을 받았었다. 야구의 저변확대를 위해 개최했다는 명분이 무색할 정도로 스타급 선수들의 참여율이 저조해 한때 대회 폐지 논란까지 불러일으킬 정도로 대회의 위상 자체가 위협을 받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신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커미셔너인 롭 맨프레드의 열정적인 참여 독려와 적극적인 행동으로 대회를 다시 살려놓을 수 있었다.

이번 대회에서 미국은 종주국의 위상회복과 아울러 한가지 수확을 더 거뒀는데, 초대형 거물급의 선수들이 아니더라도 대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열정이 높은 선수들로 구성된 팀이라면 충분히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좋은 선례를 보여준 것이다. 이번 미국팀 역시 클레이튼 커쇼, 매디슨 범가너, 마이크 트라웃, 브라이스 하퍼 같은 선수들이 참가할 뻔 했으나 부상 혹은 루틴등을 이유로 대표팀 참가를 사양했고 그 자리를 다른 선수들이 메꾸었다. 한 보기로 이번 대회에서 올스타 레벨 선수라고는 이안 킨슬러, 버스터 포지앤드류 맥커친[6], 브랜든 크로포드, 지안카를로 스탠튼, 대니얼 머피, 에릭 호스머, 폴 골드슈미트, 놀란 아레나도, 크리스티안 옐리치, 아담 존스 정도가 있지만, 이들 모두 뛰어난 선수임에도 불구 자발적으로 대회에 참여했고, 대표팀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쏟는 열정적인 플레이를 했다.

놀란 아레나도는 베네수엘라 전에서 1루 땅볼을 치고도 팀의 득점을 위해 부상 발생확률이 매우 높아 리그에서도 잘 나오지 않는 1루 헤드 퍼스트 슬라이딩을 감행했고, 에릭 호스머는 팀이 단 1점차 리드를 지키고 있던 도미니카와의 두번째 경기에서 이를 악물고 달려 헬멧이 벗겨지는 지도 모른채 달려가 홈을 파고드는 플레이를 선보이는 등 이전 미국 대표팀에서는 볼 수 없던, 몸을 사리지 않는, 팀을 위한 허슬 플레이들이 나왔다. 중량감에 있어서는 같은 조의 도미니카 공화국에 밀리긴 했지만, 미국 대표팀의 유니폼을 입었다는 자부심이 높은 선수들이었고, 이들은 열정적인 플레이로 미국의 우승을 일구는데 일조했다.

이번 미국의 우승으로 앞으로 많은 소속 미국 선수들의 참가가 많아지리라는 전망이다. 특히 2회대회에서 역시 스타 멤버로 구성된 팀으로 나왔으나 준결승에서 일본에 좌절된 경험이 있던 터에 이번 대회에서 일본을 준결승에서 2:1로 설욕하고 본선 2라운드에서 자신들을 패배시킨 푸에르토리코를 결승에서 '복수혈전' 제압함으로서 야구판 코파 아메리카 2016 결승전을 이뤄냈다[7]. 더구나 이번 대회에서 무려 5만 명이라는 관중 동원까지 이뤄냄으로서 흥행 역시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다.


7.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비고라운드 진출
파일:트로피.png파일:미국 국기.svg 미국62-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71-
3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61-4강
4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43-
5위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420.277 TQB2라운드 탈락
6위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42-0.008 TQB
7위파일:쿠바 국기.svg 쿠바24-
8위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25-
9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3-1라운드 탈락
10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20.257 TQB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2-0.122 TQB
12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2-0.172 TQB
13위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2-0.188 TQB
14위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03-0.471 TQB
15위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3-0.729 TQB
16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3-0.962 TQB


8. 기록실[편집]



8.1. 타자[편집]


순위 이름 국가 타석
1위애덤 존스파일:미국 국기.svg35
앙헬 파건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35
3위안드렐톤 시몬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32
4위놀란 아레나도파일:미국 국기.svg31
5위이안 킨슬러파일:미국 국기.svg30
키쿠치 료스케파일:일본 국기.svg30

순위 이름 국가 안타
1위블라디미르 발렌틴파일:네덜란드 국기.svg16
2위주릭슨 프로파파일:네덜란드 국기.svg13
3위안드렐톤 시몬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11
그레고리 폴랑코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11
4위공동 7명10

순위 이름 국가 홈런
1위블라디미르 발렌틴파일:네덜란드 국기.svg4
2위존 안드레올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3
알프레도 데스파이네파일:쿠바 국기.svg3
넬슨 크루즈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3
나카타 쇼파일:일본 국기.svg3
츠츠고 요시토모파일:일본 국기.svg3
카를로스 코레아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3

순위 이름 국가 타점
1위블라디미르 발렌틴파일:네덜란드 국기.svg12
2위카를로스 코레아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9
3위나카타 쇼파일:일본 국기.svg8
츠츠고 요시토모파일:일본 국기.svg8
디디 그레고리우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8

순위 이름 국가 득점
1위블라디미르 발렌틴파일:네덜란드 국기.svg10
카를로스 코레아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10
3위마츠다 노부히로파일:일본 국기.svg8
4위크리스티안 옐리치파일:미국 국기.svg7
네이트 프레이먼파일:이스라엘 국기.svg7
프란시스코 린도어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7

순위 이름 국가 도루
1위하비에르 바에즈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4
2위율리에스키 구리엘파일:쿠바 국기.svg3
야마다 테츠토파일:일본 국기.svg3
4위카를로스 코레아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에디 로사리오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달튼 폼페이파일:캐나다 국기.svg2
다나카 코스케파일:일본 국기.svg2


8.2. 투수[편집]


순위 이름 국가 선발등판
1위마커스 스트로먼파일:미국 국기.svg3
세스 루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3
제이슨 마퀴파일:이스라엘 국기.svg3
스가노 토모유키파일:일본 국기.svg3
릭 밴덴헐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3

순위 이름 국가 이닝
1위마커스 스트로먼파일:미국 국기.svg15⅓
2위세스 루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15
3위스가노 토모유키파일:일본 국기.svg14⅓
4위자이어 저젠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11⅓
5위센가 코다이파일:일본 국기.svg11

순위 이름 국가
1위대니 더피파일:미국 국기.svg2
세스 루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3위37명이 1승을 기록

순위 이름 국가
1위왕젠민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2
라이언 뎀스터파일:캐나다 국기.svg2
요아니 예라파일:쿠바 국기.svg2
4위36명이 1패를 기록

순위 이름 국가 홀드
1위조 콜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3
2위알렉스 클라우디오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3
지오바니 소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히람 부르고스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미야니시 나오키파일:일본 국기.svg2
한셀 로블레스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2
델린 베탄시스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2
티아고 다 실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2
잭 손튼파일:이스라엘 국기.svg2

순위 이름 국가 세이브
1위루크 그레거슨파일:미국 국기.svg3
2위에드윈 디아즈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2
조시 제이드파일:이스라엘 국기.svg2
쥬리스 파밀리아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2
마키타 가즈히사파일:일본 국기.svg2

순위 이름 국가 삼진
1위센가 코다이파일:일본 국기.svg16
스가노 토모유키파일:일본 국기.svg16
3위세스 루고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12
4위호세 베리오스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10
조시 제이드파일:이스라엘 국기.svg10


9. ALL WBC TEAM[편집]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17 WBC ALL-WORLD TEAM AWAR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OF

파일:미국 국기.svg O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OF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SS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2B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3B

파일:미국 국기.svg SP

파일:미국 국기.svg 1B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DH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C

파일:일본 국기.svg SP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CP




10. 중계[편집]



10.1. 해외 중계[편집]




10.2. 국내 중계[편집]


대한민국 주관 방송사는 JTBCJTBC3 FOX Sports가 단독으로 중계한다. 기사 2013년 대회때 중계권료로 최소 700만 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한 팟캐스트에서 이번 대회가 JTBC의 WBC 중계 마지막 대회라는 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8] 2년 1,400만 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10.2.1. 논란[편집]



10.2.1.1. 중계 관련[편집]

비싸게 중계권을 사 놓고도 전 경기를 중계하지 않아 야구팬들에게 욕을 먹고 있다. 편성의 자유는 방송사에게 있지만, 독점 중계라는 이유로 MLB TV 시청자들까지 해당 플랫폼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게 문제. 더구나 공교롭게도 의도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도미니카나 푸에르토리코 그리고 베네수엘라 같은 특정팀 몇몇 중계만 의도적으로 빠진 듯한 모습이 있어 더 욕을 먹고 있다. 그나마 C조와 D조의 중계의 경우 미국팀이 하는 경기들은 보여주는데 도미니카,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끼리 하는 경기들은 생중계가 되지 않았다! 일본도 마찬가지 그나마 일본 경기는 중계는 했는데 녹화중계였다. 이에 일각에서는 특정 국가를 차별하는거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다만 생중계를 아주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라서 자세히 언급할 순 없지만 사설 토토 중계방을 잘 찾아 들어가면 볼 수 있다고 하며 유튜브에서도 "Classic game" 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해외유저가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으로 생중계를 보여주고는 있다. 유투브에서 해당 경기를 치르는 국가명을 한글 또는 영어로 치면 WBC 로고와 함께 실시간 중계 중 이라며 상단에 검색된다. 단, 쓰는 PC나 노트북 등에 따라 따라 중간중간에 광고가 계속 나와서 원활한 시청에는 애로사항?이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


10.2.1.2. 해설 관련[편집]

지난 대회때 역대 최악의 해설진이라는 악평을 들었기에 해설진 구성에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박명환이병규가 새 선수 출신 해설위원으로 영입되고, 해설자들의 MLB 지식에 대한 부족에 대한 지적을 받아들였는지 아프리카와 팟캐스트 등에서 MLB 중계 경험이 있는 프리랜서 해설위원도 합류시켰다. 하지만... ??? : 이안 킨슬러는 이대형, 안익훈 같은 선수


11. 대회 스폰서[편집]



11.1. 글로벌 파트너[편집]




11.2. WBC 파트너[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09:09에 나무위키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이저리그 공인구 제조사인 롤링스에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공인구 라인업.[2] 준우승: 60만 달러 / 3위: 40만 달러 / 4위: 30만 달러 / 5~8위: 22만 5천달러 / 9~12위: 15만 달러[3] 일부 경기를 이닝별로 다시 볼수 있다.[4] 예정대로라면 타이페이돔이 완공되어서 WBC 단독 개최를 추진하려고 했으나 타이페이돔이...[5] WBC 주관사로 MLB 사무국과 MLB 노조가 각각 지분을 가지고 있다.[Q] A B C D 예선 통과팀[6] 2016 시즌은 OPS 7할중후반에 머물렀지만 2012~15 시즌 4년 연속 MVP 투표 3-1-3-5위 기록한 최고의 외야수[7]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조별리그와 그 과정이 매우 비슷하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칠레와 함께 D조에 속해 조별리그 두번째 경기에서 칠레에 2:1로 승리를 거뒀다. 그 후 결승전에서 칠레와 다시 만났으나 이번에는 승부차기에서 칠레가 4:2로 승리를 거둬 대회 2연패를 거머쥐게 되었다. 미국도 본선 2라운드에서 푸에르토리코와 F조에 속해 4번째 경기에서 푸에르토리코에 5:6으로 패했으나 결승전에서 푸에르토리코에 8:0으로 깔끔하게 승리를 거두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코파대회에서는 승부차기까지 간 것이지만 이번 월드 베이스볼에서는 정규이닝인 9회에서 승리를 결정지었다는 것.[8] 차기 대회부터 국내 중계권은 지상파 3사를 주축으로 한 코리아풀로 다시 넘어갔다.

관련 문서